본문 바로가기

독후감을 위한 독후감

[Crawl-Read] Growth IQ 그로스 아이큐9 - 이어폰이 왜 다 같은규격일까?

어째서 USB가 제조사와 상관없이 어느 장비에서나 작동되는지, 어쨰서 이어폰이 거의 모든 장비에 꽂혀 음악을 듣거나 전화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지 궁금증을 가져본 적이 있는가?

 

구글 USB 검색결과
구글 이어폰 포트 사이즈 검색결과

 

 

이는 컴퓨터 산업에서 기술을 개발한 덕분이다.

 

 

성장 경로 9: 협조적 경쟁

 

 

협조적 경쟁이란 단어는 경쟁(Competition)과 협조(cooperation)의 합성어다. 논리적으로는 상반된 뜻을 가지고 있지만, 현실에서는 탁월한 효과를 내왔다. 협조적 경쟁 경로의 핵심 개념은 경쟁 기업이라도 독자적으로 달성할 수 없을 것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가장 흔한 형태의 협조적 경쟁 관계는 두 경쟁사가 고객과 시장점유율을 놓고 경쟁하면서도 기본 연구, 앱의 개발, 심지어 시장을 열거나 확장하는 제품 플랫폼에서는 협력하는 것이다. 법적 구속력이 없는 원칙적 제휴 관계를 뜻하는 업무 협약이 한 가지 예다.

 

가장 유명한 예는 기술 산업에서 찾아볼 수 있다. 기술 산업에서 하드웨어 기업과 소프트웨어 기업은 서로의 경쟁사와 표준, 호환성에 대해 협력하면서 공동 유통 협정을 맺는다.

 

미래의 필요는 미래의 협력자 모델을 요구한다.

미래 세상에 필요한 것은, 미래의 협력된 생산자를 요구한다.

 

 

출처: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ct_097&wr_id=1976&page=4

2014년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는 자사를 통해 오픈소스 운동에 참여하고 특허를 무료로 제공하겠다고 발표해서 세상에 충격을 안겼다. 이는 감탄할 만한 행보이면서 실제로는 혁신에 대한 최초 철학에 찾아온 변화였다.

테슬라가 가진 수많은 특허로 높은 수익을 가질 수 있엇지만, 실제적으로 전기자동차 시장은 한자리수 이상으로 성장하지 않았다. 시장이 침체되자 테슬라는 접근 방법을 다시 생각했다. 그리고 다른 기업의 경쟁을 막으려고 애쓰는 전략에서 탈피해 시장을 부추겨 더욱 빨리 성장할 수 있도록 자사 기술을 기폭제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협조적 경쟁은 테슬라가 전진하는 경로였다. 

 

 

 

생각해보기.

로프접근기술자 시장도 경쟁자가 많다. 많은 기술인들이 그렇듯 돋보적인 존재도 있지만 그 밑의 피라미드 속에는 수많은 경쟁이 있다. 그 피라미드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시장에도 협조적 경쟁이 되지 않는다.

겁먹는 사람이 지고마는 치킨게임이 계속될 경우 결국 피해를 받는건 실질적으로 일을하는 노동자가 그 피해를 받게 된다. 정당한 계약을 통해 정당핫 댓가를 받는 것은 누구에게나 받을 수 있는 권리다.

노동자는 노동을 통해 기업의 수익을 증대시키고, 기업은 노동자에게 정당한 댓가를 주면 된다. 각자의 위치에서 할 일이 있지만, 물가상승은 엄청나게 된것에 비해 (내가 생각하기에) 지나친 경쟁으로 임금은 싯가를 달린다. 이 시장은 수확량(어획량)에 따라 달라지는 싯가.

 

협조적 경쟁이 로프접근기술자 들에게 필요한 시점이다. 어떤 방법으로 협조적 경쟁을 이끌 수 있을까?

우리나라에는 로프접근기술자가 필요한 산업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많은 곳에서 알지는 못한다. 지금 추구하는 가장 기본적인 권리 '안전'과 '안정'을 함께 얻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야 한다.

 

 

 

필요한 서비스에 대한 정당한 댓가.

 

 

어느곳에서나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