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좀 옮나요
여름철이 되면 발에 땀이 많아지면서 무좀이 생깁니다. 보통 내부에서 염증이 생기면서 생기는 염증은 치료하고나서 옮겨지지 않는다고 하는데, 곰팡이균이 번식하는 증상은 옮길 수 있다고 합니다.
백선균 효모균이 침입하면서 생기는 것인데, 어디서 옮겨올 수도 있고 습한 여름이 되었을때 더 많이 생깁니다. 이 균들은 신체의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더 활발하게 활동을 하므로 면역력도 요인 중 하나입니다. 예전에는 어른들이 무좀이 걸린 분들이 너무나 많았고, 그걸 보면서 더럽다고만 생각했는데 지나고보니 누구나 걸릴 수 있는 병이더라구요.
무좀 옮나요 라고 물으신다면 당연히 yes 입니다.
무좀 옮나요 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
피부과에서 무좀을 치료할때에는 적어도 몇 달 이상 걸립니다. 약도 꾸준히 먹어야 하고, 습하지 않게 관리하는 것도 당연히 중요합니다. 여름철에 땀 흡수가 잘 되는 양말을 신는것도 중요하고, 통풍이 잘 되도록 주기적으로 관리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곰팡이균은 습환 환경에 증식을 잘하는데요, 되도록 습한환경을 만들어주는것을 피하시고 생활하시는게 좋습니다.
병원에 가면?
곰팡이균이 있는 무좀 증상의 경우 발바닥의 외피가 벗겨지면서 가려운 통증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무좀 옮나요 에 대한 답이 그렇다고 했으니 가족중에 이 증상을 없애려면 발수건도 따로 써야 합니다. 피부과에서 진료를 받으면 따로 처방해주는 약이 있고, 이 약은 복용하는 약과 바르는 약을 다 받습니다.
바르는 약은 튜브형을 바르는데요, 보통 이 연고는 광범위 진균치료제 입니다. 발을 깨끗하게 씻고 잘 말린 상태에서 이 연고를 바르는데요 이 연고에는 테르비나핀 성분이 있고 항상 사용하실 땐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무좀 원인은 외부에만 있는것이 아닌데요 , 면역력 저하로 인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면역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좀은 발 뿐만 아니라 손에도 발생할 수 있는데요 이는 발에 생기는 것보다 현저히 적은 비율로 발생합니다만 손에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균이 없는 것은 아니니 항상 손발을 청결히 관리해야 합니다.
무좀 옮나요 확률은 당연히 같은 신발을 사용한다던지, 같은 수건을 사용할 때 옮을 수 있습니다. 만약 무좀이 있는 사람이 가까이 있다면 슬리퍼나 수건 등 따로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을 잘 해도 무좀 옮나요
예방이 최선이지만 아무리 예방을 잘 한다고 하더라도 무좀이 옮을 수 있습니다. 세상에 완벽한 예방은 정말 힘들기 때문인데요 다른사람에게 전염되지 않게, 다른사람에게 전염받지 않게 발의 청결을 지켜주시고, 양말을 신을 때에는 땀흡수가 잘 되는 양말- 발가락 양말도 좋아요-을 사용합니다.
병원에 가서도 무좀 옮나요
병원에 가면 피부과 의사 선생님은 만지지 않습니다. 눈으로 보고 처방을 내려주시니 크게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내가 만약 무좀에 걸린 상태라면 다른사람에게 전염되지 않게 위생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연고/항생제 처방을 받아 꾸준하고 질기게 치료를 해야 합니다.
사실 무좀이라고 말하고 치료를 시작하는 것 자체가 조금 부끄럽기도 하는데 전혀 그러실 필요가 없습니다. 병원에서는 그저 환자로 보고 치료에 대한 도움을 받는 곳이기 때문에 무좀이 걸린 것은 부끄러운 것이 아니고 얼른 치료해야 앞으로 살아가는데에 꼭 필요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작은 전염병이긴한데 이 전염병이 엄청난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에 조금 귀찮고 힘들더라도 치료를 하루라도 빠르게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민간요법으로 무좀치료?
민간요법으로 무좀 치료를 하는것은 '절대' 하지 않아야 합니다. 예를들어 소금이나 식초 소독제 등등 민간요법으로 무좀을 치료하려는 분들도 있을텐데, 오히려 무좀을 더 번지게 하고 피부를 약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분들은 절대 민간요법을 사용하지 말라고 조언합니다.
어떤 곳을 보면 소금으로 20분간 찜질을 하고 나서 말리고 씻은다음 따뜻하게 감싸는 방법을 하라고 합니다. 소금이 부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지만 우리의 몸은 음식이 아니므로 소금으로 그렇게 치료하는 방법은 잘못됐습니다.
식초를 이용한 무좀치료. 식초도 왠지 강한 산성으로 우리 피부에 기생하는 곰팡이균을 다 살균 시켜버릴것같은 느낌을 주지만 식초로 인해 자칫 피부가 약해질 수 있고 피부 밑에 자리잡고 있는 곰팡이균의 활성화를 더 시켜주는 역할을 할수있으므로 식초도 사용하면 안됩니다.
에탄올로 담구는 것도 느낌은 시원하다고 하지만 에탄올의 소독도 결국은 피부 겉만 닿고 그 에탄올로 인해 피부가 약화되고 면역이 약화될 수 있으므로 이것도 틀린 방법입니다.
초기증상인데 무좀 옮나요?
무좀의 초기증상은 피부가 붉게 올라오거나 간지러운 증상이 있습니다. 초기증상이라고 해서 무좀의 세기가 약한 것은 아니므로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잠시 증상이 사라졌다고 해서 무좀 곰팡이균이 내부에 침투한 것이 사라진 것은 아니니 완전히 뿌리를 뽑아야 걱정이 없습니다.
아무리 초기증상이라고 할지라도 무좀이 옮으니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무좀이 심해지면 피부가 굳은살처럼 딱딱해지고 갈라지면서 갈라진 살 사이로 불편한 고통이 뒤따릅니다. 굳은살이 되는 증상이 되면 치료가 더욱 더딜 수 있으니 반드시 그 전에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무좀은 한번도 걸리지 않은사람은 있어도 한번만 걸린 사람은 없다는 속설처럼 무좀 옮나요 에 대한 답이 충분히 되었겠죠. 완치는 정말 어려우니 꾸준하게 하다보면 완치에 도달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생활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솜 납작 형광펜 카톡테마 다운로드 (1) | 2021.07.28 |
---|---|
사진 편집 프로그램 포토스케이프 사용법 (2) | 2020.02.10 |
MZK Malware Zero 무료 바이러스 애드웨어 제거 프로그램 사용기 (0) | 2020.02.01 |
울산 가볼만한곳 랜드마크 롯데꿈동산 (0) | 2020.01.30 |
에버노트 유용한 기능 4가지 (0) | 2020.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