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zl의 Shunt는 로프접근 초창기 때부터 백업장비로 수십만의 로프접근 기술자들이 사용하던 장비 입니다.
단순한 구조와, 저렴한 가겨그, 가벼운 무게의 효율이 굉장히 좋았죠.
그러나 이 션트는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1. 조작을 잘못할 시 위험
2. 추락&제동거리의 불안정
3. 값싼 가격으로 제조사의 상대적 영업이익감소(이건 제 추측)
이렇기 때문에, Petzl 에서는 Shunt 제품을 없앴.....지는 못하고 인증이 없어졌습니다.
반사이익으로 떠오른 대표적인 장비인 S.tec 사의 덕알 Duck-R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덕알 Duck-R 에 관한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그 전에 다른 장비의 사용을 보시려면 이전 포스팅을 참조해주세요~
추천포스팅1.
2019/09/01 - [장비 읽어주는 남자] - 추락방지 장비 백업장비의 베스트셀러 Petzl ASAP LOCK
추락방지 장비 백업장비의 베스트셀러 Petzl ASAP LOCK
주로 사용하고 위치를 잡는(Positioning)의 역할을 작업줄 에서 한다면, 작업줄에 문제가 생겼을 때 떨어지지 않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보조장비 백업장비 추락방지장비 로 불리는 안전줄 입니다. 이 안전줄..
safers.tistory.com
추천포스팅2.
2019/07/11 - [장비 읽어주는 남자] - 기초 2. 카라비너 Karabiner / Carabiner
기초 2. 카라비너 Karabiner / Carabiner
장비의 기초인 2탄, 카라비너 편 입니다. 흔히 우리나라에선 '비너' 라고도 부르고, 카라비너 라고도 부릅니다. 외국에서는 'Crab' 이라고 부르는 곳도 있으니 카라비너 라는 말이 어렵긴 하죠? 로프접근 장비의..
safers.tistory.com
추천포스팅3.
2019/07/10 - [장비 읽어주는 남자] - 기초1. Petzl 페츨 하강기의 마스코트 I'D S 아이디
기초1. Petzl 페츨 하강기의 마스코트 I'D S 아이디
Petzl이란 브랜드는 로프접근을 접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알만한 브랜드입니다. 하강기로 주로 사용하는 I'D S 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I'D S 설명은 앞 포스팅인 아래의 링크를 확인하시면 전반적인 장비 설명..
safers.tistory.com
장비설명서를 정독하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메뉴얼을 버리신 분들은 이 메뉴얼을 받아서 읽어보시길 추천드려요.(반드시 읽어야 합니다)
설명서를 보면, Rope Access Back-up device 라고 되어있죠, EN12841 Type A는
BS EN 12841:2006: Personal fall protection equipment. Rope access systems. Rope adjustment devices
백업 장비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덕알을 사용하는 로프의 직경은 10.5 - 11mm의 로프를 사용하고, EN1891 Type A의 로프(저신장로프) 와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화살표 방향이 앵커의 방향으로 샹하게 하고 덕알을 조작하는 코드가 11번에 있습니다.
덕알은 기능적으로 션트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는데, 그렇기때문에 조작상 문제가 있다면 잠재적 큰 위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리부분인 Cam 부분은 알루미늄타입과 스테인리스스틸 타입으로 구분이 되어 있습니다.
하네스에 부착할 때에는, EN361인 Full-body harness나 EN813 인증이 있는 Sit-harness 에 부착하여 사용합니다.
랜야드를 사용할 때에는 EN 랜야드로 최대 60Cm를 넘지 않아야 하고, 카우스테일(Dynamic Rope)를 사용할 때에는 허리에서 80Cm 이하, 가슴에서 50Cm 이하로 하는것을 추천합니다.
덕알은 날카로운 부분이 없기 때문에 올바르게 사용한다면 로프에 손상을 입히지 않습니다.
덕알Duck R 을 설치할 때에는 랜야드에 카라비너를 연결한 상태로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실수로 떨어트릴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로 줄여주는 방법입니다. 공중에서 떨어트리게 된다면 낙하물의 위험성 뿐만 아니라 2개의 부착지점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니 설치방법, 해체 방법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설치 후 작동이 잘 되는지 점검을 하는 방법입니다.
비교적 보기 쉽고, 점검도 어렵지 않은 편 입니다.
덕알을 조작하는 방법은 섹션8 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덕알을 올리는 방법은 카라비너 쪽을 잡고 올리고, 내릴때에는 포지셔닝 코드를 잡고 내립니다.
절대로 몸통을 쥐거나 덕알 윗부분의 줄을 잡는 것은 위험합니다.
*여기서 위험한 이유는, 만약 작업줄이 떨어졌을 때 안전줄인 보조장비 덕알이 제동을 시켜줘야 하는데, 사람의 본능상 손을 움켜쥐게 되고, 덕알은 손을 움켜쥐면 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에 이 주의사항은 반드시 숙지하고, 습관화 돼야 할것입니다.
덕알의 위치는 그림과 같이 가능한 높이 위치시키고,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한다면 위로 올려줘야 합니다.
덕알의 위치가 높게 있다고 하더라고 그 위로 줄이 늘어진 부분이 있다면 이것은 피해야 합니다.
지난번 아삽락에서와 같이 Clearance Distance를 확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안전하게 추락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하는 것은 덕 도 마찬가지 인데요, 1.로프가 늘어나는 길이 + 2. 덕알 이 미끄러지는 길이 = 안전추락거리 가 되어야 합니다.
설명서는 20Cm의 미끄러짐이 기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작업줄의 길이가 어느정도 길고, 바닥에 가까워진 상황이라면 별도의 주의가 필요하고 이 사항에 대해 사용전 충분히 위험을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공식이 있지만, 매번 계산할 수 없으므로 경험을 바탕으로 보수적으로 계산하고 인지해야 합니다.
내릴때 스는 Positioning cord의 길이는 직경 4mm 코드슬링은 길이 40mm 미만, 직경 5mm 코드슬링은 길이 50mm 미만으로 조절해야하고, 매듭이 있으면 안됩니다.
레스큐시 사용할 수 있는데, 최대 200kg의 무게를 견딜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덕알의 위치를 어깨위로 유지해야 하니 사용성에서는 그다지 효율적 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덕알의 기초적인 부분을 언급했는데, 다음 덕알 포스팅은 조금 더 심화적인 내용을 다뤄보려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조해주세요~
'장비 읽어주는 남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강기 로프클램프 사용법! (0) | 2019.10.06 |
---|---|
추락방지 장비 백업장비의 베스트셀러 Petzl ASAP LOCK (1) | 2019.09.01 |
기초 2. 카라비너 Karabiner / Carabiner (0) | 2019.07.11 |
기초1. Petzl 페츨 하강기의 마스코트 I'D S 아이디 (0) | 2019.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