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로프접근의 모든 것

달비계 (젠다이)편 - 줄을 타는 사람들

우리가 흔히 지나다니며 아파트 외벽에  아래와 같은 공사를 하고 있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달비계 작업을 하고 있는 로프 기술자

 

이 작업자는 직경 16mm~22mm 사이의 P.P.(Polypropylene) 로프를 이용하여 달비계(젠다이) 작업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왜 달비계를 젠다이 라고 부르는 것일까?

 

젠다이는 판자 양 옆에 밧줄을 매달아 그네처럼 타고 작업하는 장비로 하강그네입니다.

어원을 살펴보면 젠다이 ぜんだい 라는 말은 “선대”의 일본식 발음으로, 우리말로는 선반 이라고 하는데 물건을 올려놓거나, 받침대역활을 하는것을 말한다.

시공작업용 선반대를 줄여서 ” 작업선반대” 라고 순화해 표현하고 있다.

건설업계에서는 ” 달비계” 라고도 말한다.

높은 곳에서 공사를 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한 가설물을 일컫는 “비계”와 매달다 할때의  “달”자를 앞에 붙였다.

출처 : http://www.109i.kr/

 

 

많은 건설용어들이 일본어에서 비롯된 것으로 유추해 보았을 때, 일본어가 어원일 가능성이 크다.

그렇기 때문에, 달아놓는 비계(아시바 혹은 족장) 이라는 뜻으로 달비계 라는 용어가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공단에 정식 명칭으로 있고, 법령정보센터 에도 달비계는 정식 명칭으로 조항이 있다.

 

 

 

그러면 우리나라의 달비계에 관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을 아래에서 알아보자.

 

 제4절 달비계, 달대비계 및 걸침비계  <개정 2012. 5. 31.>

 제63조(달비계의 구조) 사업주는 달비계를 설치하는 경우에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와이어로프를 달비계에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가. 이음매가 있는 것

나.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스트랜드(strand)를 말한다. 이하 같다)]에서 끊어진 소선(素線)[필러(pillar)선은 제외한다)]의 수가 10퍼센트 이상(비자전로프의 경우에는 끊어진 소선의 수가 와이어로프 호칭지름의 6배 길이 이내에서 4개 이상이거나 호칭지름 30배 길이 이내에서 8개 이상)인 것

다.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퍼센트를 초과하는 것

라. 꼬인 것

마. 심하게 변형되거나 부식된 것

바. 열과 전기충격에 의해 손상된 것

2.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달기 체인을 달비계에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가. 달기 체인의 길이가 달기 체인이 제조된 때의 길이의 5퍼센트를 초과한 것

나. 링의 단면지름이 달기 체인이 제조된 때의 해당 링의 지름의 10퍼센트를 초과하여 감소한 것

다. 균열이 있거나 심하게 변형된 것

3.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섬유로프 또는 섬유벨트를 달비계에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가. 꼬임이 끊어진 것

나. 심하게 손상되거나 부식된 것

4. 달기 강선 및 달기 강대는 심하게 손상ㆍ변형 또는 부식된 것을 사용하지 않도록 할 것

5. 달기 와이어로프, 달기 체인, 달기 강선, 달기 강대 또는 달기 섬유로프는 한쪽 끝을 비계의 보 등에, 다른 쪽 끝을 내민 보, 앵커볼트 또는 건축물의 보 등에 각각 풀리지 않도록 설치할 것

6. 작업발판은 폭을 40센티미터 이상으로 하고 틈새가 없도록 할 것

7. 작업발판의 재료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비계의 보 등에 연결하거나 고정시킬 것

8. 비계가 흔들리거나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계의 보ㆍ작업발판 등에 버팀을 설치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

9. 선반 비계에서는 보의 접속부 및 교차부를 철선ㆍ이음철물 등을 사용하여 확실하게 접속시키거나 단단하게 연결시킬 것

10. 근로자의 추락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달비계에 안전대 및 구명줄을 설치하고, 안전난간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인 경우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제64조(달비계의 점검 및 보수) 사업주는 달비계에서 근로자에게 작업을 시키는 경우에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그 달비계에 대하여 제58조 각 호의 사항을 점검하고 이상을 발견하면 즉시 보수하여야 한다.

 제65조(달대비계) 사업주는 달대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제66조(높은 디딤판 등의 사용금지) 사업주는 달비계 또는 달대 비계 위에서 높은 디딤판, 사다리 등을 사용하여 근로자에게 작업을 시켜서는 아니 된다.

 제66조의2(걸침비계의 구조) 사업주는 선박 및 보트 건조작업에서 걸침비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지지점이 되는 매달림부재의 고정부는 구조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할 것

2. 비계재료 간에는 서로 움직임, 뒤집힘 등이 없어야 하고, 재료가 분리되지 않도록 철물 또는 철선으로 충분히 결속할 것. 다만, 작업발판 밑 부분에 띠장 및 장선으로 사용되는 수평부재 간의 결속은 철선을 사용하지 않을 것

3. 매달림부재의 안전율은 4 이상일 것

4. 작업발판에는 구조검토에 따라 설계한 최대적재하중을 초과하여 적재하여서는 아니 되며, 그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 최대적재하중을 충분히 알릴 것

[본조신설 2012. 5. 31.]

 

달비계의 구조와 점검에 관한 내용을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영상을 제작 했다.

로프 접근 작업의 특성상 사고가 나게 되면 중대 재해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는 아래와 같은 홍보 영상을 통해 경각심을 일으키고, 보다 안전한 달비계 작업현장을 만드는 목적이 있다.

 

 

자료출처: Youtube - 안전보건공단안젤이 :: 달비계의 구조와 점검

https://www.youtube.com/watch?v=HkxZi9-ZpdQ

 

영상을 보면 어떻게 작업을 하는지, 어떤점이 위험한지, 또 이러한 위험을 통제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나온다.

이와 같은 방법을 선호하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기준에 명시되어 있는 만큼 건설회사에서는 이 규정을 잘 따라야 한다고 정해놓고 있다.

 

기본적으로 이 영상을 따르고, 각각의 기술 노하우는 Youtube 에서 젠다이 타는 법 이라고 치면

여러사람들의 영상이 있다.

 

 

 

흔히 말하는 젠다이 타는법 이라고 Youtube에 검색을 해봤을 때 여러가지 검색결과가 나왔다.

 

 

 

 

로프를 설치하는 방법을 안전보건공단안젤이 Youtube 에서 가져왔다.

 

출처: 안전보건공단안젤이 Youtube

1. 일단 튼튼한 고정점(Anchor Point)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요즘 건물엔 외벽 로프 작업을 위한 고정점이 필수이지만, 고정점이 없는 건물과 같은 경우 다른 튼튼한 지점을 찾아야 한다.

 

2. 튼튼한 고정점을 찾았으면, 적절한 매듭(화면에 보이는 매듭은 8자매듭으로 보인다)을 이용해 고정점에 연결하고 다른 지점과도 연결해 놓아야 한다. 로프가 지나가는 모서리에는 손상을 입지 않도록 보호 조치를 취해야 한다.

 

출처: 안전보건공단안젤이 Youtube

3. 샤클에 위와 같은 매듭을 짓는다.

 

 

 

 

 

 

 

 

 

출처: 안전보건공단안젤이 Youtube

4. 작업대(작업의자)를 샤클에 걸어 밑에 줄을 고정시킨다.

5. 작업대에 앉기전, 추락방지대 를 설치하고 달비계에 앉는다.

6. 매듭에 손이 끼지 않게 줄을 밀어넣으며 하강하고, 과도하게 흔들지 않아야 몸이 의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설

우리나라 안전규칙은 이 달비계 시스템에 대한 기준만 있다. 이만큼만 달비계를 사용한다고 하면, 적어도 추락으로 인한 재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추락 후, 혹은 어떤일이 발생했을경우는 알 수 없지만)

건설사의 달비계 작업은 거의 이렇게 작업을 한다고 한다. 하지만 자영업자나, 개/보수 를 하는 분들의 경우 작업줄 하나에 의지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는 시간에 대한 제약이 있기 때문에 많이 그렇게 사용한다고 하는데, 어느정도는 맞고 어느정도는 틀리다고 할 수 있다. 그들에게 시간은 돈 이지만, 시간을 조금 아끼는 것이 영원한 시간을 잃는 것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 간과하고 있지는 않을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