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로프접근의 모든 것

자일 2편 로프 교육과정과 비용 IRATA(아이라타) - 줄을타는 사람들

앞선 로프접근 - 자일편 포스팅은

1. 자일이 달비계(젠다이) 작업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에 대한 부분과

2. 어원, 

3. 어떤협회에서 발전되었는가. (어떤명칭을 쓰는가)

에 대해 다뤄보았다. 

아직 안 보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길.

https://safers.tistory.com/6

 

줄을타는 사람들 - 자일seil(로프접근) 편 ①/⑤

앞에 포스팅한 달비계(젠다이) 편은 보통 우리나라에서 P.P.로프를 타고 작업하는 것에 대한 소개였다. 아직 못보신 분은 아래 링크로~^^ https://safers.tistory.com/5 그 반대로 소위 '자일 탄다' 라는 말을 현..

safers.tistory.com

 

 

 

 

 

 

자일을 배운다고 하면, 무엇을 배워야 하는 걸까?

우선 비교적 간단한 조작법을 가진 달비계(젠다이) 에 비해 자일은 다양한 장비와 사용법을 익혀야 한다.

(그 전에, 구매를 해야 배울 수 있는 경우도 더러 있다)

 

 

 

 

 

 

 

세계적으로 로프 접근 훈련(자일) 을 하는 회사는 많이 있다. 각 회사의 성격에 따라 로프 접근 훈련의 종류가 조금씩 다르다. 각 나라에 있는 훈련센터를 모두 소개할 수는 없으니 우리나라에 있는 훈련센터를 아래 소개한다. 이 중 irata 회원사는 ⓘ 로 표기를 해 두었다.

(이름순)

로프악세스코리아 http://www.rope-access.co.kr/main.html

 

RopeAccessKorea

 

www.rope-access.co.kr

- 세이프티엑세스코리아 http://www.safetyaccesskorea.co.kr/

 

Safety&Access Korea

 

www.safetyaccesskorea.co.kr

- 안나푸르나 페츨 트레이닝센터 http://www.aptc.kr/

 

APTC - (주)안나푸르나 - 최고의 산업안전장비 교육 솔루션

 

www.aptc.kr

- 에스이엠아카데미주식회사  https://semkorea.com/

 

https://semkorea.com/

 

semkorea.com

- 에이피플러스코리아 http://www.applusvelosi.com/en/

 

Applus+ Velosi | Consultancy, testing and certification for the oil and gas industry

Applus+ Velosi We are focused on asset integrity consultancy, vendor surveillance, third-party inspection, testing,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services for the oil and gas, mining, and energy industries. Read More »

www.applusvelosi.com

- (ⓘ 다른나라에서 멤버십 공유)프라임코리아시니어 http://www.primeks.co.kr/

 

프라임 코리아시니어

 

www.primeks.co.kr

- 한국산업로프접근협회 http://kiraa.kr/

 

한국산업로프협회

 

kiraa.kr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훈련비용  
훈련센터명 IRATA  비고 Others 특징
로프악세스코리아 - 85만원(부가세별도) 한국인 최초 IRATA Level 3
세이프티엑세스코리아 홈페이지 게시 없음 국비지원 조건만족시 IRATA 49만원 국제 비계 자격증 특화
안나푸르나페츨트레이닝센터 120(부가세포함) 산업구조과정 50-70만원 페츨 국내 공급처
에스이엠아카데미 140(부가세없음) 국비지원 조건만족시 IRATA 무료/ 산업구조과정 15-50만원 국내 최대 규모 훈련장
에이피플러스코리아 홈페이지 게시 없음 울산 동구 주민 IRATA 국비지원 가능 국내 최초 훈련센터
프라임코리아시니어 100(해양대학교와 연계) - 숙식제공
한국산업로프접근협회 - 무료 실업자/재직자 과정 개설 

기본적으로 위 회사들은 로프접근 자일 훈련을 하는 회사들로써, 모두 IRATA 의 훈련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그들 중에는 표기한 바와 같이 IRATA 훈련센터가 있다)

 

 

 

 

 

 

 

 

 

 

 

 

거제 에스이엠아카데미 훈련실습장

IRATA 에서 접근방법은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라 스포츠에서의 위험을 감수하는 것 과는 다른 접근 방식을 갖는다. 로프접근 작업의 특성상, 사고가 발생하면 중대재해로 이어지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할 확률(risk) 0%에 가깝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로프접근은 항상 어떤 한 가지가 잘못되었을 때에도 다른 안전장치가 있어야 한다. 이를 Fail to Safe 시스템이라 부른다.

Petzl 페츨 사의 ID's 와 Rig 하강기를 같이 사용. Fail to Safe의 기본이라 할 수 있다.

 

 

 

 

 

 

 

 

 

로프접근을 하는 것은 기술자가 작업 위치에 자리잡는(positioning) 하는 것이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다. 흔히 고소작업시 추락을 방지하는 장비들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할 수 있는데, 가장 큰 차이점이 추락방지(fall arrest)를 하는 것과 매달려 위치를 잡는 것이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로프접근중 추락사고는 대부분 예방이 가능하다. 그 중 첫번째로 적절한 개인 보호구의 착용을 기본으로, 장비를 올바르게 사용 해야 한다. 로프접근을 한다는 것은 체력적으로 접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장비를 이용하고 장비에 몸을 맡기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장비의 사용법을 완벽히 숙지하고 숙달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은 중요하다.

 

 

 

 

 

 

 

IRATA의 훈련 시스템으로 우리나라 회사의 훈련시스템이 형성이 되어가고 있기 때문에 협회에서 구분한 Level 1/2/3 과정을 그대로 채택하는 회사들이 많다.

처음 훈련을 받을 때 에는 Level 1 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데, 이 기술자들이 반드시 해야할 부분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로프접근 방법을 익히고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자기자신의 장비를 점검하고 올바르게 착용,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위험성 평가를 비롯한 안전작업게획 구조계획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 Y 모양의 로프설치를 포함한 로프설치

-하강구조를 할 수 있어야 한다

-기본적인 운반(Hauling)/내리기(Lowering) 시스템을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Level 1 기술을 가진 기술자가 Level 2 훈련을 받을 때에는 각 협회의 기준에 따른 조건이 필요하다. IRATA 에서는 1000시간의 로프접근 작업 시간과, 12개월의 기간이 필요하다. 다음은 Level 2 기술자가 반드시 해야할 부분이다.

- Level 1 과정의 모든것

- 등강기 상태의 부상자를 구조하는 것 외에 복잡한 구조

- 복잡한 로프설치

- 숙련도

- Level 3를 도울 기술

Level 2 기술을 가진 기술자가 Level 3 훈련을 받을 때에는 각 협회의 기준에 따른 조건이 필요하다. IRATA 에서는 1000시간의 로프접근 작업 시간과, 12개월의 기간이 필요하다. 다음은 Level 3 기술자가 반드시 해야할 부분이다.

- Level 3 과정의 모든것

- 복잡한 로프설치

- 복잡한 구조

- 팀 관리 : 팀 시나리오(작업) / 구조계획 / 위험성평가 / 작업지침수립

- 사용장비의 완벽한 숙지

 

 

 

자세한 작업시간의 조건과 기간의 조건은 세부적인 내용이라 궁금하시면 각 회사에 문의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IRATA의 경우 이 훈련 과정을 거치고 기술자로서 준비가 된 것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루의 독립적인 평가가 이뤄진다. IRATA 에서 평가관을 Assessor 라고 하는데, 각 회사의 소속된 평가관이 아니라 IRATA에서 지정된 Assessor 코스를 통과한 기술자가 이 자격을 얻을 수 있다.

평가는 합격/불합격 으로 나뉘는데, 모든과제를 과실(discrepancy) 없이 통과 한다면 합격이다. 불합격이 되는 경우는 두 가지가 있다.

- 첫째 : 안전에 위협적인 중대한 과실을 범했을 경우

- 둘째 : 첫째 경우가 아닌 경미한 과실(중대하지 않은 나쁜습관이 이에 해당) 이 3 차례 진행됐을 경우

 

 

 

 

훈련기간에 배운 내용들을 평가시 한번씩 수행하면 된다.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서 합격률이 아주 높아질수도, 반대로 아주 낮아질 수 도 있다.

현 정부의 고용율 증가 정책에 따른 IRATA 취득 국비지원 과정이 진행될 때가 있다. 필요한 사람이라면 비교적 고 비용의 인증증을 덜 부담되게 받을 수 있는 기회일 수 있다.

꼭 IRATA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훈련이 가능한 훈련센터가 앞으로 자일을 사용할 로프접근 기술자들에게 보다 안전한 시스템을 배울수 있게 한다.

훈련을 받은 기술자들도 장비를 구매할 때 함께 오는 설명서를 자세히 읽고 사용한다면 훨씬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