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로프접근의 모든 것

5편 로프 작업 계획과 비상절차 필요한 문서 - 줄을타는 사람들

 

이전까지의 포스팅이 로프접근을 하는 실무의 내용을 다뤘다면,

이번 포스팅은 로프접근 작업을 실질적으로 안전하게 계획하고 혹시 모를 비상 계획을 세우는 방법을 다룰것이다.

이전 내용을 안보셨다면 한번 읽어보고 오시는 것을 추천한다.

 

 

 


2019/04/08 - [산업 로프접근의 모든 것] - 줄을타는 사람들 - 자일seil(로프접근) 편 ①/⑤

 

줄을타는 사람들 - 자일seil(로프접근) 편 ①/⑤

앞에 포스팅한 달비계(젠다이) 편은 보통 우리나라에서 P.P.로프를 타고 작업하는 것에 대한 소개였다. 아직 못보신 분은 아래 링크로~^^ https://safers.tistory.com/5 그 반대로 소위 '자일 탄다' 라는 말을 현..

safers.tistory.com

 

2019/05/09 - [산업 로프접근의 모든 것] - 줄을타는 사람들 - 자일 훈련과정과 비용 ②/⑤

 

줄을타는 사람들 - 자일 훈련과정과 비용 ②/⑤

앞선 로프접근 - 자일편 포스팅은 1. 자일이 달비계(젠다이) 작업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에 대한 부분과 2. 어원, 3. 어떤협회에서 발전되었는가. (어떤명칭을 쓰는가) 에 대해 다뤄보았다. 아직 안 보신 분..

safers.tistory.com

2019/05/13 - [산업 로프접근의 모든 것] - 줄을타는 사람들 - 자일seil편: 장비③/⑤

 

줄을타는 사람들 - 자일seil편: 장비③/⑤

자일(seil) 을 이용한 로프접근이 무엇인지 이전 글에서 확인할 수 있고, 2019/04/08 - [산업 로프접근의 모든 것] - 줄을타는 사람들 - 자일seil(로프접근) 편 ①/⑤ 줄을타는 사람들 - 자일seil(로프접근) 편 ①..

safers.tistory.com

2019/07/01 - [산업 로프접근의 모든 것] - 줄을타는 사람들 - 자일seil편: 로프설치 및 매듭 편 ④/⑤

 

줄을타는 사람들 - 자일seil편: 로프설치 및 매듭 편 ④/⑤

이번 줄을 타는 사람들 이야기의 네 번쨰인 로프설치 및 매듭 편 에서는, 로프를 설치하는 기준과 방법과 매듭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소개를 한다. 앞의 내용을 아직 읽어보지 않았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면..

safers.tistory.com

위험성 평가 RISK ASSESSMENT

작업에 들어가기에 앞서 작업의 위험을 평가하고 그 위험성을 줄이는 위험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도 위험성 평가에 대한 부분을 중요시 여기고 있다.

위험성평가를 지원하는 시스템도 있다.

위험성평가 리플렛을 아래 첨부하니 필요한분은 참조하시길 바란다.

2018년 위험성평가 리플렛.pdf
1.96MB

모든 일을 하는 곳에서는 위험이 존재하고 있다. 그 위험이 발생하는 빈도에따라, 발생했을때 야기되는 심각도에 따라 위험성 평가를 진행한다.

 

사고가 발생하는 빈도가 높아질수록 위험성이 높아진다.

사고가 발생했을때 심각도가 높아질수록 위험성이 높아진다.

 

이렇게 사고가 발생하는 빈도 혹은 심각도를 줄인다면 위험성은 줄어든다.

추상적인 이야기 같아서 간단한 예를 들어본다면,

 

사람과 차량이 지나가는 도로에 기찻길이 지나가는 위험성이 있다. 기차가 지나갈때 사람이나 사람이 타고있는 차량이 위험한 상황에서 어떻게 위험성을 줄일 수 있을까?

1. 도로를 없앤다 → 빈도줄이기

2. 기차를 없앤다 → 빈도줄이기

3. 기차를 푹신푹신한 스펀지로 만들고 속도를 3km/h 이하로 줄인다 → 심각도줄이기

4. 사람에게 아이언맨슈트를 입힌다  → 심각도줄이기

위에 언급한 1~4는 위험성을 줄이는 방법들을 모색한 것이다. 극단적인 방법들이지만 꽤 효과가 있을것이다.

 

다음은 위험성평가를 실행하는 5가지 단계를 통해 기차가 도로를 지나는 위험성을 줄여보자.

1. 위험성 인식 - 기차가 지나가는 기찻길이 도로를 가로지른다.

2. 위험성 영향파악 - 도로에는 사람이나 차량이 지나다녀서 기차와 충돌할 시 큰 위험성이 있다.

3. 위험성 컨트롤 - 기차가 지나갈 때 도로를 차단하는 차단봉이 내려오고, 이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상주한다. - 관리시스템과 차단봉으로 빈도 줄이기

4. 기록 - 이 위험성과 컨트롤 방법을 기록한다.

5. 검토 - 검토후 같은 위험성이 있는 곳에 적용하고 필요하면 수정한다.

 

우리 작업을 어떻게 줄이는지, 위험성평가의 큰 틀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안전작업분석 SAFETY METHOD STATEMENT

다음은 IRATA I.C.O.P 에 기술되어 있는 안전 작업 분석(Safety Method Statement)을 소개한다.

우리나라의 공사 현장에서 보면 '표준안전지침서' 라는 문서나 많은 이름의 문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ICOP 에서 이야기 하는 안전 작업 분석은 보다 포괄적인 정보가 있어야 한다.

 

다음의 내용은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고 한다.

a) 문서의 타이틀

b) 회사정보(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등)

c) 문서관리자(책임자)

d) 문서개정사항

e) 현장위치

f) 현장 연락처

g) 공사기간

h) 작업개요

 

어찌보면 당연한 항목들이다. 위 정보를 바탕으로 자세한 작업 내용을 기술해야 하는데,

작업의 상세한 내용, 비슷한 작업의 보고사항, 작업허가서, 작업자 정보, 혼재작업 사항 등 다양한 작업의 내용만큼 다양한 내용이 있어야 한다.

 

결국 이 안전 작업 분석의 궁극적인 목표는, 회사차원에서 이 문서만 읽어도 작업의 내용을 면밀히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다.

이렇게 시스템이 갖춰지면 안전한 바탕이 만들어지고, 작업자(기술자) 들은 보다 안정적이고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비상절차

 

만약 아주 철저한 관리를 한 작업이라 할 지라도, 사고는 발생한다. 로프접근 작업 중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구조를 신속하게 해야 하고, 그 구조가 이뤄지고 나서는 필요시 응급처치도 해야 한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 움직일 수 없는 요구조자를 구조하는 계획은 이미 세워져 있어야 한다.

이를 구조계획(Rescue Plan) 이라고 하는데, 현장관리자(Supervisor)는 다양한 상황에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각 상황에 맞게 구조계획을 세워야 한다.

 

사고가 발생하는 상황을 다양하게 예상할 수 있는데, 작업에 따라 다양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관리자는 작업에 대한 이해가 충분해야 한다.

작업 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요인도 충분히 인지하고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

 

 

비록 로프접근작업을 한다고 하더라도 로프접근구조'만'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보다 빠르고 용이한 구조 방법이 있다면, 합리적으로 그것을 선택하는 것은 필요하다.

 

 

대규모 인적사고 발생 시 행동요령

 

사고보고

세계 어느 나라에서든지 사고발생시 보고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우리나라에도 산업재해 발생 보고가 의무화 되어있다.

(0)(1)산업재해_발생_보고제도_변경_관련_해석_지침.hwp
0.06MB

이 밖에도 로프접근작업 현장을 운용하거나 현장관리, 작업을 할 때에는 많은 절차가 필요하다. 이 귀찮은 절차들이 꼭 필요한 이유는 로프접근작업의 특수성 때문이다. 사고발생의 가능성을 0%에 가깝게 만드는 것이 1차라면, 2차로 혹시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대처하는 것도 관리하는 절차에 포함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로써,

산업로프접근 방법을 5가지 단계의 포스팅에 담았습니다.

이것은 방대한 내용의 극히 일부분만 설명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많은 경험을 통해서나, 관련자료를 통해 더욱 익힐 수 있습니다.

향후, 이 카테고리에는 산업로프접근의 관련된 정보를 포스팅 할 것이고, 아직 모르는 내용이 많으므로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소개하면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포스팅하겠습니다.

혹시 5편까지 봐주셨다면 정말 감사드리고, 아직 이 블로그 조작이 미숙한점 사과드립니다.

궁금하신점이나 다뤘으면 하는 주제를 댓글이나 메일로 알려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과 좋아요는 작성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구독은 있는거 맞나 모르겠어요)